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D카드
- jenkins pipeline
- 스케줄링
- 라즈베리파이
- eureka
- 라즈베리파이 에러
- spring eureka
- Spring cloud
- position independent code
- MSA
- 소켓 프로그래밍
- scheduler
- 소켓
- pthread_join()
- 우분투
- OS
- i/o scheduling
- scheduling
- spring cloud eureka
- 리눅스
- Jenkins
- pthread_create()
- 스케줄러
- i/o schduler
- 젠킨스
- 포맷
- socket
- linux
- 네트워크
- 젠킨스 파이프라인
- Today
- Total
목록스케줄러 (2)
dayne의 블로그

목차1. I/O 스케줄러의 필요성과 역할2. Non-Multiqueue 스케줄러3. Multiqueue 스케줄러 1. I/O 스케줄러의 필요성과 역할시스템에서 I/O 작업이 발생하면, 가상 파일 시스템과 로컬 파일 시스템을 거쳐 I/O 스케줄러에 병합과 정렬을 통해 queueing 되고 순차적으로 블록 디바이스에 전달됩니다.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SSD와 달리, HDD는 헤드의 물리적인 이동에 따른 지연이 발생하므로, 디스크 섹터를 이동할 때 I/O 요청을 최대한 처리해야 디스크 탐색 시간을 줄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처럼, 3개의 I/O 요청을 하나로 병합해서 정렬하였을 때, 디스크 헤더의 동선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I/O 요청을 병합하고 정렬하지 않은 경우, I/O ..

목차1.프로세스 스케줄링2.프로세스 스케줄러 종류 및 동작 방식 1.프로세스 스케줄링프로세스 스케줄링은 운영체제가 여러 프로세스나 쓰레드 간에 CPU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합니다. 프로세스 스케줄링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으로는 스위칭 시점, 다음으로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기준, 프로세스 실행 시 할당된 자원의 반환 여부 등이 있습니다.프로세스 중에서도 CPU 작업 비중이 높은 프로세스, I/O 작업 비중이 높은 프로세스, 특정 시간 내에 마무리되어야 하는 프로세스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데, 스케줄링은 아래의 사항들을 고려하게 됩니다.time slicing : 프로세스는 스케줄러로부터 타임 퀀텀을 할당받는 방식으로 동작priority :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