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S
- pthread_create()
- 소켓
- 우분투
- 라즈베리파이
- linux
- i/o scheduling
- scheduler
- socket
- pthread_join()
- 젠킨스
- 스케줄링
- Jenkins
- scheduling
- i/o schduler
- jenkins pipeline
- 리눅스
- 소켓 프로그래밍
- SD카드
- 젠킨스 파이프라인
- spring eureka
- 포맷
- position independent code
- 스케줄러
- 네트워크
- 라즈베리파이 에러
- spring cloud eureka
- Spring cloud
- eureka
- MSA
- Today
- Total
목록Spring cloud (2)
dayne의 블로그
목차1. 유레카 설정 구분2. 자기 보호 모드3. 레지스트리 등록 여부 / 캐싱 여부4. 레지스트리 갱신 - 서비스 등록 관련5. 레지스트리 갱신 - 서비스 해제 관련6. IP 주소 우선7. 유레카 피어링 설정 1. 유레카 설정 구분eureka.server. : Eureka Server 관련 설정eureka.client. : Eureka Client가 레지스트리에서 다른 서비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설정eureka.instance. : 이름, 포트 등 현재 Eureka Client에 대한 정보를 재정의하는 설정 2. 자기 보호 모드2.1 서버 측 설정eureka.server.enable-self-preservation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 등으로 인한 서비스 해제를 막기 위한 자기 보호 모드 설정 ..

목차1. Service Registry & Discovery2. Eureka3. Eureka Server & Client 구축 1. Service Registry & Discovery클라우드가 아닌 환경에서, 서비스의 발견은 '로드 밸런서'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로드 밸런서가 서비스에 대한 프록시 역할을 하므로 서비스에 매핑된 정보가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매핑 규칙을 수동으로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인프라 스트럭처의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불편한 점이 존재했습니다. (새로운 서비스를 인스턴스 시작 시점이 아닌 수동으로 등록) MSA로 설계된 환경에서는, 여러 마이크로 서비스들을 운용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구축할 것입니다.이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스턴스는 AutoScaling, 생..